AI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은 정말 다양해서 주머니 사정, 유저 인터페이스, 기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가 정말 많아졌어.
하지만 이번 포스트에서 소개할 AI 이미지 생성 툴은, 내 컴퓨터에 설치해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아주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Stable diffusion WebUI를 소개할게.
혹시 자신이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한다면 관련 글로 이동하는걸 추천해!
•
•
Stable Diffusion WebUI란?
간단하게 말해서, 내 컴퓨터의 로컬환경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AI 이미지 생성 툴이야. 대표적인 게 AUTOMATIC1111 WebUI(A1111)라는 프로그램이고, NAI에서는 구현하기 어려운 기능들이 많고 확장성이 좋아 많은 사람들에게 애용되고있어.
위에서 한 번 안내하긴 했지만 A1111 WebUI는 자신의 컴퓨터 사양에 따라 천차만별의 성능을 보여줘. 만약 자신의 컴퓨터 그래픽카드가 GTX3060 보다 성능이 떨어지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면, 위에 링크해둔 런팟 서비스를 이용하는걸 강력하게 추천해.
왜 WebUI를 쓰는 거야?
•
사이트 가입 안 해도 됨
•
모델, LoRA, 체크포인트 원하는 대로 추가 가능
•
뛰어난 확장성
•
완전히 무료
Windows에서 A1111 WebUI 설치하는 방법
1. 필요한 사양
•
그래픽카드: 최소 RTX 3060 이상 권장 (VRAM 6GB 이상)
•
OS: Windows 10 이상
•
Python, Git 설치 필요
2. 설치 순서
1.
Python 3.10.6 설치 (Add to PATH 체크 필수)
2.
Git 설치
3.
설치할 폴더에서 우클릭 > "Git Bash Here"
4.
아래 명령어 입력: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AUTOMATIC1111/stable-diffusion-webui.git
cd stable-diffusion-webui
Shell
복사
5.
실행:
webui-user.bat
Shell
복사
6.
처음엔 필요한 파일들 자동으로 다운받으니까 좀 기다리면 돼
7.
브라우저에서 http://127.0.0.1:7860 접속하면 끝
Mac에서 A1111 WebUI 설치하는 방법
Mac은 기본적으로 CUDA 지원이 안 되기 때문에 약간 느려. 그래도 M1, M2칩이면 웬만큼 돌아가.
1. 필수 설치
•
Homebrew
•
Python 3.10
•
Git
2. 설치 순서
# Homebrew 설치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# Git, Python 설치
brew install git python@3.10
# 경로 설정
echo 'export PATH="/opt/homebrew/opt/python@3.10/bin:$PATH"' >> ~/.zprofile
source ~/.zprofile
# WebUI 설치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AUTOMATIC1111/stable-diffusion-webui.git
cd stable-diffusion-webui
python3 launch.py
Shell
복사
컴퓨터 사양이 낮다면? 런팟(RunPod) 추천
내 컴퓨터에 그래픽카드가 없거나 사양이 낮다면, 클라우드 GPU 서비스를 활용하면 돼. 그중에서 추천하는 건 RunPod.
RunPod 장점
•
저렴한 요금 (1시간에 0.2달러 이하도 가능)
•
WebUI 사전설치 템플릿 제공
•
터미널, 파일업로드, 모델 설치 전부 웹에서 가능
사용법 간단 정리
1.
RunPod.io 회원가입
2.
Community Templates > Stable Diffusion (AUTOMATIC1111) 선택
3.
GPU 타입 고르고 인스턴스 생성
4.
웹 주소 접속 → 바로 WebUI 사용 가능
5.
생성된 이미지, 모델은 터미널이나 Jupyter로 업로드/다운 가능
WebUI 기본 사용법
처음 WebUI 들어가면 좀 복잡해 보여도, 핵심은 이거야:
1. Txt2Img – 문장에서 이미지 만들기
•
Prompt: 어떤 이미지를 만들지 설명
•
Negative Prompt: 제외하고 싶은 요소 (예: blurry, ugly 등)
•
Steps: 생성 퀄리티, 20~30 정도 추천
•
Sampler: DPM++ 2M Karras 많이 씀
•
CFG Scale: 이미지에 프롬프트를 얼마나 강하게 반영할지 (7~11 추천)
•
Width/Height: 해상도 (512x768 같은 비율 추천)
2. Img2Img – 기존 이미지에서 변형
기본 원리는 비슷한데, 기존 이미지를 참고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기능이야.
3. 모델, LoRA 설치
•
stable-diffusion-webui/models/Stable-diffusion 폴더에 모델(.safetensors) 넣으면 자동 인식
•
LoRA는 models/Lora에 넣고, 프롬프트에서 <lora:LoRA이름:강도> 형식으로 사용
마무리
지금까지 0원으로 AI 이미지를 무제한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줬어.
Windows, Mac 설치부터, 사양이 낮을 땐 RunPod 활용, WebUI 기본 사용법까지 다 다뤘지.
만약 모델 추천, LoRA 설정, 프롬프트 작성법 같은 것도 알고 싶다면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다뤄볼게. 궁금한 게 있으면 댓글이나 메일로 남겨줘.
필요하면 이 글 형식 그대로 마크다운 파일이나 워드프레스용으로도 변환해줄 수 있어. 더 추가하거나 고치고 싶은 거 있으면 말해줘!